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람 몸의 구조, 사람 몸 조직의 종류

by 병아리연구원 2022. 1. 24.
반응형

1.사람 몸의 구조

 해부학은 유기체의 구조를 공부하는 학문이다.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사람 몸의 구조를 공부하기 시작하면, 각 구조물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모양, 크기 그리고 특징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특징에 맞는 기능이나 생리학을 알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형태와 기능이 사람이 만들어 내는 운동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에 관한 운동학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된다. 사람의 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학문이 아니라 여러 가지 학문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더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탐구해야 한다.

2. 사람 몸 조직의 종류

 조직(tissue)란 비슷한 구조와 기능을 공유하고 있는 세포의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사람의 몸은 주로 4개의 기본 조직으로 구성 되며 다음과 같다. 조직을 덮어주는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지지해 주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근육조직(muscle tissue)과 신경조직(nervous tissue). 각 조직의 특징과 기능을 두 번에 나누어 살펴보겠다.

CHRISTY CAEL, 기능해부학 : 치료사를 위한 해부학 운동학 및 촉진, E PUBLIC, 2012, p 6.

1) 상피조직

 상피조직은 사람 몸의 안쪽과 바깥쪽 표면에서 그리고 피부의 바깥층에서 발견된다. 또한 몸 안쪽(body cavity)의 내면과 샘(glands) 안에서 발견된다. 상피조직은 사람의 몸을 보호하고 흡수와 여과를 돕는 물질을 분비한다.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피조직의 특성상 외부 환경과 파괴적인 환경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쉽게 재생되며, 죽거나 손상을 입은 세포들을 끊임없이 치료하거나 교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피조직은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표면상피(surface epithelium) : 몸 표면의 안쪽, 바깥쪽에 있는 얇은 층을 포함한다. 피부에서 기계적인 보호막 기능을 하거나 보호적인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을 한다.

- 샘상피(glandular epithelium) : 몸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으로 물질을 생산하고 운반하며 혈류에 직접적으로 운반하기도 한다. 눈물샘, 땀샘 그리고 침샘은 모두 샘상피로 이루어져 있고 갑상샘, 뇌하수체 그리고 부신 또한 샘상피로 이루어져 있다.

- 감각상피(sensory epithelium) : 특성화된 세포를 포함하며 특수한 자극을 감지하거나 전달한다. 이러한 세포들은 시각, 청각, 미각 그리고 후각과 같은 특수한 감각에 기능을 한다.

 

2) 결합조직

 결합조직은 사람의 운동에 영향을 주는 거의 모든 구조물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4종류의 조직(상피, 결합, 근육, 신경) 중 가장 많이 존재한다. 뼈, 근막, 인대 그리고 힘줄과 같은 1차적인 운동구조물(primary movement structures)들은 결합조직으로 분류된다. 또한 지방, 연골, 혈액과 같은 지지조직도 결합조직으로 분류된다.

 결합조직은 세포외바탕질(extracellular matrix) 곳곳에 존재해 있는 개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외바탕질은 액체 상태로 정지해 있는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한 바탕질(ground substance)로 알려져 있다. 이 액체는 물,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당단백질(glycoprote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포함한다. 이 액체의 화학적 성질은 바탕질을 장력의 크기, 온도, 화학적 기질에 따라 수용성 액체나 고체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조직의 증식에 의해 바탕질이 액체화 되어가는 능력을 틱소트로피(thixotropy)라고 한다. 이러한 바탕질 속에는 콜라겐섬유(collagen fiber), 그물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elastic fiber) 총 3종류의 섬유가 있다. 바탕질 섬유 각각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결합조직의 종류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 자세히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다. 또한 사람 몸의 조직 중 근육조직과 신경조직에 대한 내용도 함께 이야기 해보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