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

항상성 조절계의 일반적인 특징 및 되먹임 시스템 신체의 세포와, 조직, 기관들의 활동은 서로 어떠한 변화라도 바로잡기 위해 서로 반응을 일으키고 조절되어 통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반응을 중재하는 기능은 항상성 조절계(homeostatic control system)에 의해 수행이 된다. 항상성 조절계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항상성 조절계(homeostatic control system)의 특징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조절과 통합 작용을 중재하는 것이 항상성 조절계이다. 체온 조절을 예로 들어 생각해 보자. 온도가 20℃인 실내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가벼운 옷차림을 한 건강한 남성이 있다. 남성의 체온은 37℃로, 온도가 낮은 실내 환경에 열을 빼앗기고 있지만 신체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열 손실률과 동일한 비율로 열을 발생시킨다... 2023. 1. 30.
항상성의 정의와 생리적 기능 무엇이든 적당히 해야한다는 말이 있다. 삶에 있어서 균형은 질 좋은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항목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균형과 조절은 우리의 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인체에서 발견되는 생리학적 변수들은 대부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생리학적 변수들 사이의 균형 상태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항상성과 생리적 기능 대부분의 세포는 간질액(interstitial fluid)과 접촉하고 있으며, 이 간질액은 세포의 내부와 주변 모세혈관의 혈액 사이에서 물과 기체, 이온 등의 용질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적인 상태로 발견 되었다. 항상성(homeostasis)은 위와 같은 생리학적 변수들 사이에서 합리적으로 안정되는 균형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간단한 정의와는 다르.. 2023. 1. 27.
인체의 기관과 기관계 그리고 체액 구획 기능이 특수화된 세포들은 서로 유사한 세포와 결합하여 결합조직, 상피조직, 신경조직, 근육조직 등을 형성한다. 이러한 네 가지 종류의 다양한 조직 중 두 종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 기관이다. 많은 기관은 여러 가지의 작고 유사한 기능의 단위를 가지고 있으며 기관들이 모여 전체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기관계라고 한다. 그리고 체액과 구획의 조성을 알아보겠다. 기관과 기관계 기관은 기능적인 단위로 언급되는 작고 서로 비슷한 소단위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관은 다양한 세포가 결합된 조직들의 결과인 네 가지 종류의 조직(결합조직, 상피조직, 신경조직, 근육조직) 중 두 종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관, 세포판, 층, 다발, 박판과 같은 것이다. 신장의 경우 다양한 평활근과 결.. 2023. 1. 26.
인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의 종류와 조직 세포란, 다세포인 생명체를 분할하고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단위이다. 다세포는 분열과 분화를 통해 특정 기능에 맞게 변형되고,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종류가 구분된다. 또한 구분된 세포들은 이동하기도 하며 다른 세포와 부착하기도 하는데 유사한 성질을 가진 세포들이 모여 조직화 된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조직(tissue)이라고 하며, 분화된 세포의 조직에는 일반적으로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상피조직 등의 유형이 있다. 근육세포와 근육조직(muscle cell and muscle tissue) 근육세포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각각 세포들은 평활근과 심근 그리고 골격근의 조직을 형성한다. 근육세포가 수행하는 기능은 기계적인 힘(수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평.. 2023.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