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 근육 조직의 생리해부학, 맨눈해부학, 현미경 해부학 우리가 그동안 사람 몸 조직의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해부학을 알아보았다면, 이번 글은 생리해부학을 알아보고자 한다. 생리해부학을 알게 된다면, 운동의 종류와 효과를 명확하게 구분해서 트레이닝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근육이라는 조직이 어떻게 힘을 내고 움직임을 발생시키는지 알기 위해서는 맨눈 해부학과 현미경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 1. 맨눈 해부학 결합조직은 근육의 전체를 보호하고 지지하며 분리하기 위해 조직을 감싸고 있다. 근육 개개의 세포인 섬유(Fiber)는 근육섬유막(Endomysium)이라는 결합조직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다. 근막(Fascicles)이라는 다발 속에 많은 근육 섬유군이 속해 있고, 여러 층의 결합조직인 근육다발막(Perimysium)이 그들을 둘러싸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2022. 3. 14. 우리 몸의 특수한 구조물, 신경과 연골 1. 신경(Nerves) 신경은 우리 몸의 안정과 함께 의사소통하고 조절하는 신경계통의 한 부분이다. 신경계통은 뇌와 척수, 말초신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사람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고 해석하여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친다. 신경은 전기적인 신호를 뇌와 척수, 몸 구석구석에 퍼져있는 말초로 전달한다. 감각신경(Sensory nerve)와 운동신경(Motor nerve)로 예를 들어보겠다. 감각신경은 몸의 내부와 외부 환경을 관찰하고 파악해서 그 정보를 뇌로 전달하게 된다. 전달된 정보는 뇌에서 통합되고 반응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활동을 일으키는 운동신경이 반응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과 반응의 경로를 통하여 신경계통에서 운동의 반응과 우리 몸의 모든 계통을 조정하고 소통하게 되는 것이다. .. 2022. 3. 12. 인체의 특수한 구조, 피부와 림프 운동을 위해 반응하는 구조물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 인간의 몸 안에 있는 구조물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구조물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다. 그중에서도 뼈나 근육, 인대, 근막, 힘줄 등은 움직임과 운동이 일어나면 체계적으로 반응을 한다. 다른 계통으로 특수한 구조를 띠고 있는 피부와 신경, 혈관, 림프관과 림프절, 연골, 윤활주머니 등은 사람의 몸 안에서 다른 구조물들에 대해 보호하고 강화하기도 하며 조절작용과 함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특수 구조물들은 각각 효과적인 운동과 건강에 많은 기여를 한다. 1. 피부(Skin) 피부(Skin)는 우리의 몸 전체를 뒤덮고 있는 연속적인 하나의 구조물이다. 이 피부는 우리의 몸 외부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이나 빛과 열 등에 대항하여 보호하는 역.. 2022. 3. 11. 근막과 힘줄, 그리고 혈관의 특성 이전의 글들은 근육의 구조와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관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글은 그 근육을 감싸고 있는 치밀 결합조직인 근막(Fascia)과 힘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근막(Fascia) 근막은 사람의 몸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느슨 or 치밀한 결합조직이다. 근막은 대부분 얇은 막으로서 사람 몸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단위로 나누어 보호하고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근막은 사람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뼈와 근육 그리고 관절을 둘러싼다. 또한, 근막은 사람의 몸을 구분하는데 몸의 안과 밖, 근육 그리고 피부 등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근막은 혈관이나 신경에 대해 옷을 입힌 듯이 피복을 형성하고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조절을 해주는 주변의 구조물을 고정해 주는 역할을 .. 2022. 3. 9. 이전 1 2 3 4 5 6 ··· 8 다음